문제를 해결하는 프로덕트 디자인

2023. 11. 16. 14:44STUDY/오늘의 기록

728x90
반응형
프로덕트 디자이너 = 디지털 프로덕트를 설계해 문제를 해결하는 사람 = 사용자와 끊임없이 소통하는 사람

 

➡️ 모바일 앱을 사용하는데, 어딘지 모르게 어색함을 느낀다면 그때가 바로 프로덕트 디자인이 필요한 순간

 


프로덕트 디자인 단계

1. 탐색(Discover) - 현상 파악

2. 정의(Define) - 문제가 무엇인지 정의

3. 설계(Design) -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제품 설계

4. 전달(Deliver) - 사용자에게 제품을 전달하는 단계를 거쳐 디자인이 완성

 

UX 디자이너 : 제품 설계의 1단계인 탐색을 담당

사용자를 이해하고, 목표 달성을 위해 어떤 과정을 거쳐야 하는지 연구하는 직군

 

UI 디자이너 : 시각화에 집중하는 직군, 3단계인 설계를 담당

UX 단계에서 도출한 워크플로우나 프로토타입을 바탕으로 프로덕트를 기획하고, 타이포그래피, 아이콘 등의 시각 기법을 이용해 레이아웃을 제작한다.

 

UX/UI 디자이너 : UX와 UI가 결합한 직군, 2단계 정의를 담당

 

프로덕트 디자이너 : 전 과정에 관여한다. UI/UX에 대한 이해를 넘어 제품 그 자체를 관리하는 매니저 역할을 맡는 직군이다.

 


프로덕트 디자이너에게 요구되는 역량

1. 생각법

2. UX 설계

3. UI 설계 역량

 

  • 결과물에 대한 타당한 이유를 명확하게 이야기하는 논리력이 필요하다.
  • 본인이 선택한 디자인이 최선의 답인지 판단하는 비판적 사고도 중요하다.
  • ⭐️ 아이디어의 구체적인 디자인을 상상하는 능력은 타 직업과 차별화되는 지점
  • 데이터를 읽고 해석하는 데이터 리터러시가 필요한데, 디자인 설계를 위해 어떤 데이터가 필요한지 알아내 수집하는 능력

 

UX 설계에서 중요한 부분

  • 먼저 사람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 사용자가 특정한 상황에서 어떻게 생각하고 행동하는지 알아야 하기 때문에 인지, 행동 심리학에 대한 사전 지식이 필요하다.
  • 또한 설문조사나 프로덕트 사용 기록 등의 행동 결과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행동을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정량조사)
  • 사용자 인터뷰나 사용성 테스트 등을 통해 사용자의 사고방식을 파악할 수 있는 정성조사도 요구된다.
  • 마지막으로 경험 설계가 중요하다. 사용자가 서비스를 경험하는 단계를 가시적인 형태로 가공할 수 있어야 한다.
  • 페르소나, 카드소팅, 유저 저니맵, 와이어 프레이밍 등의 방법을 주로 사용한다.

 

UI 설계에서 중요한 부분

  • 먼저 도구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 사용자는 스마트폰, 노트북 등 물리적인 도구부터 iOS, 안드로이드 등 무형의 도구까지 다양하게 사용한다.
  • 디자이너는 이런 도구의 차이에 대해 깊이 알아둬야 한다.
  • 시각 디자인을 이해해야 한다. 매끄럽게 도구를 사용할 수 있도록, 색, 아이콘, 레이아웃 등 다양한 시각 기법의 효과를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 프로토타이핑을 이해해야 한다. 개발에 비용을 투입하기 전, 최적의 디자인인지 검증할 프로토타이핑 제작 능력이 중요하다.
  • 디자인 시스템을 이해해야 한다. 반복 사용하는 요소를 규격화하는 디자인 시스템 구축 능력이 필요하다.

 

프로덕트 디자이너가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은?

1. 디자인 사고 - 고객에게 공감하고 모든 가능성을 열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논리적인 연관성을 뛰어넘어서 직관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통합적 사고가 바로 디자인 사고이다.

공감-정의-구현-검증 과정을 거치며 제한 없이 발상을 떠올린 뒤, 현실성을 고려해 수정하는 방식이다.

 

2. 린(Lean) - 빠르게 프로덕트를 만들어 데이터를 측정하고 배운 것을 반영하는 방법

서비스 방향 조정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시장과 고객의 변화가 빨라지면서 완벽한 계획이 불가능해졌고, 빠른 피드백 반영을 중시한 린이 탄생했다. 린은 만들기-측정-학습을 반복하는 사이클로, 가장 중요한 개념은 학습이다. 배운 내용과 기존 계획과 다르다면 과감히 계획을 수정하는 '피벗'이라는 말이 있다.

 

3. 애자일(Agile) - 최소 단위로 핵심가치를 전하자는 철학

린은 학습하고 반영하는 데에, 애자일은 서비스 단위를 작게 하는 것에 중점을 둔 방식이다.

 

위의 3가지 방식을 사용한다.

  • 이 3가지의 장점을 섞은 고객 기반 개발법이 가장 널리 쓰이고, 셋 모두 최소한의 비용으로 가설을 검증하고 목표 달성 확률을 높이기 위한 방법론이다.

 


마이리얼트립의 사례

  • 문제 정의 - 제품 설계 - 결과 측정 과정을 거쳐 서비스가 개선된다.
  • 프로덕트 디자인의 시작은 고객의 문제를 정의하는 것부터이다.
  • 문제를 확인하기 위해 고객 인터뷰와 유저 테스트를 진행한 뒤, 고객 경험을 상상해 프로덕트를 설계한다.
  • 디자인 원칙에 기반해 제품을 설계하고, 문제가 해결됐는지 지표로 확인한다.

 

호텔 메타 개선 프로젝트 : 혜택을 한눈에 보이게 개선한 프로젝트

 

현황: 마이리얼트립에서는 부킹닷컴, 익스피디아 등 여러 예약 서비스를 통합 검색할 수 있는데, 서비스별 혜택이 보이는 데까지가 복잡했다.

문제를 정의하는 것부터 디자인을 시작했다.

 

✔️ 고객 : 숙소를 저렴한 가격으로 예약하고 싶다.

✔️ 회사 : 한정된 리소스로 예약 전환율을 높여야 한다.

✔️ 문제 : 저렴한 가격으로 예약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 수 없다.

 

 

 

  • 다른 선택 요소를 배제하고 저렴한 가격이란 단 하나의 요소에만 집중했다.
  • 문제를 UI로 해결하기 위해서 메인, 리스트 페이지, 객실 비교 상세 페이지를 개선했다.
  • 예약 서비스에 따라서 어떤 혜택이 있는지 알려주고, 궁금하면 언제든지 연락할 수 있게 해 빠른 해결에 초점을 맞춘 디자인이었다.
  • 한 달간 모니터링한 결과, 다른 변수 없이 평균 2배 정도 전환율이 증가한 걸 확인했다.

 

탐색 기능 개선 프로젝트

고객 여정의 막다른 벽을 개선해, 뒤로 가기의 사용을 줄인 프로젝트이다.

기존 메인 페이지는 모든 정보를 최대한 알려주자는 목표 아래, 다양한 컨셉의 상품 묶음을 테마 형태로 전달했다.

하지만 이 형태는 고객이 몇몇 상품 문구만 보고 상품이 이것밖에 없다는 오해를 살 수 있었다.

 

✔️ 고객 : 제주도에서 할만한 것을 찾고 싶다

✔️ 회사 : 제주도 체험&입장권 예약률 증가가 필요하다

✔️ 문제 : 닫힌 경로가 많아 고객이 길게 탐색할 수 없다

 

 

  • 고객의 최종 목표를 제주도만의 독특한 체험, 입장권을 발견하는 것으로 설정했고, 고객이 몇 개의 상품을 둘러보다가 이탈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 탐색을 위해선 메인으로 계속 돌아가야 하는 불필요한 과정 때문이었다.
  • 문제를 UI로 해결하기 위해서 상품이 없다고 오해할 수 있을 만한 테마 진입점을 제거했고, 탭과 필터를 이용해서 상품을 지속해서 탐색할 수 있는 진입점을 추가했다. 도시 페이지로 이동하는 경로도 만들었다.
  • 출시 후, 결제 전환율이 약 2.5배 정도 상승했다.

 


출처

https://www.wanted.co.kr/events?category=tag.dija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