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기 좋은 프로덕트의 비밀] 아이콘
2023. 11. 13. 20:53ㆍSTUDY/오늘의 기록
728x90
반응형
- UI에서 아이콘의 중요성과 어떻게 만들어야 좋은지 배워봅시다.
- 개성을 부여하기 쉽고 다양한 실험이 가능한 시각 언어인 아이콘은 어떤 법칙으로 제작해야 하는지 배워봅시다.
아이콘
: 누구나 아이콘을 보면 무슨 뜻인지 알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 아이콘 = 이미지의 일종으로 볼 수 있음
- 이미지란 기호의 경계에 있는 요소인데 사진처럼 복잡한 어떤 이미지 전체를 전달하는 것이 아닌 구체적으로 무슨 내용을 압축해서 설명할 때 자주 쓴다.
- ex) 올림픽 - 종목 설명 : 픽토그램
- 종목을 강렬하고, 간결하게 표현한다.
- 픽토그램도 아이콘의 일종이라고 볼 수 있다.
- 디지털 프로덕트 안에서는 아이콘으로 불리고 있음
- 스마트폰 안에서 앱 아이콘을 볼 수 있다. (브랜딩 아이콘이라 불림)
- 프로덕트 안에서 동작하는 것들도 아이콘으로 볼 수 있다. (시스템 아이콘이라 불림)
- 아이콘의 역사
- 최초 아이콘 : xerox-star
- 애플 Mac에서 아이콘을 대중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했고, 이때부터 아이콘이 좀 더 단순히 기능만 전달하는 것 뿐만 아니라 즐거운 표현이나 감정적인 표현을 담기 시작했다.
- 좀 더 구체적이면서도 너무 복잡하지 않게 아이콘만 보면 무슨 의미인지 알 수 있도록 고도로 발달된 아이콘을 만들기 시작했다.
- 그 이후, 윈도우(Window)에서 아이콘 많이 활용하기 시작
- 처음 아이콘은 pixel로 만듬 -> 기술의 발전에 따라 아이콘 만드는 방법 발달함
- 아이콘이 실제 세계에서 볼 수 있는 느낌으로 집중하게 되고 그때를 기점으로 이런 표현법에 대해서 "스큐어모피즘"이라는 용어를 쓰게 되었다.

- "플랫 UI"로 변화
- 더 단순화된 형태로 디자인된 아이콘

아이콘 스타일
- 선 / 면 / 색
- 보통 선으로 채워져있는 것을 많이 사용한다.
- 선 아이콘 -> 눌러야한다는 것을 인식

굵기 vs 둥글기

얇음 아이콘 특징

- 한 화면 안에 많은 양의 아이콘이 필요할 때 굵은 선으로는 여러가지 아이콘을 구분하기 굉장히 어렵기 때문에 얇은 선을 사용한다.
- 아이콘 추상적 설명이 필요할 때 얇은 선의 아이콘을 사용한다.
굵음 아이콘 특징

- 글자가 없거나 내용을 강하게 전달하고 싶을 때 굵게 사용한다.
- 최근 서비스들은 사람들이 많이 학습을 한 상태라서 따로 글로 설명하지 않고, 아이콘만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 굵음 아이콘 많이 사용
둥글기
각짐 아이콘 서비스

- 전체 서비스의 보이스 앤 톤을 기준으로 결정하거나 텍스트에 녹아드는 경우가 많을 때 각짐 아이콘을 많이 쓴다.
둥금 아이콘 서비스

그리드 설정


- 구글의 대표적인 24*24 pixel
무게

통일

디테일
- 아이콘 -> 아이콘이 뜻하는 것을 표현하기 위한 최소한의 요소로만 표현하는 것이 가장 좋다.
시점
- 아이콘 디자인 -> 수평적인(평면) 요소로 표현
단순화
- 빠른 시간 내에 무슨 내용인지 스캔하기 때문에 복잡하게 표현할 필요 없다.
플랫폼 경험

'STUDY > 오늘의 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제를 해결하는 프로덕트 디자인 (0) | 2023.11.16 |
---|---|
[보기 좋은 프로덕트의 비밀] 레이어 (1) | 2023.11.14 |
[보기 좋은 프로덕트의 비밀] 타이포그래피 (0) | 2023.11.10 |
[보기 좋은 프로덕트의 비밀] 컬러 (0) | 2023.11.08 |
[하루 5분 UX] 핵심 아이디어 (0) | 2023.1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