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81)
-
Meta Tag란?
Meta tag - og:image : 웹 페이지 정보를 알려주는 정보 - 웹페이지 정보를 알려주는 Metadata를 담은 tag - Meta tag 중에서 Open Graph 약자인 'og:' 를 이용. 미리보기 등에 사용된다. 위 뉴스링크 Meta Tag를 살펴보면 og : image og : title og : url 로 구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021.09.30 -
API란?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운영 체제나 프로그래밍 언어가 제공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만든 인터페이스를 뜻한다. (https://ko.wikipedia.org/wiki/API) API는 애플리케이션과 기기가 원활하게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 여기서 애플리케이션이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스마트폰 어플이나 프로그램을 말한다. API는 애플리케이션과 기기가 데이터를 원활히 주고받을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우리 주위에서도 쉽게 볼 수 있다. Ex) 배달앱 - 지도API Ex) 로그인 화면 (SNS 연동 로그인 - 간편 로그인 API) API는 사용하는 방법과, 용도에 따라 오픈 API와, 비공개 API 정보가 있다...
2021.09.24 -
[네이버지도/카카오맵/스마트서울맵] 코로나 선별진료소 혼잡도 확인하기
코로나19가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데 각 지도 서비스에서 혼잡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1. 네이버지도 네이버와 네이버지도에서 "선별진료소 혼잡도"라고 검색하면 주변의 선별지료소와 함께 혼잡도 정도를 보여주고 있다. 네이버지도 혼잡도 기준은 위와 같다고 한다. 현재는 서울/인천 지역에서만 제공한다고 한다~ 2. 카카오맵 카카오맵에서도 혼잡도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데 네이버와 동일하게 선별진료소 혼잡도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네이버와 카카오맵 둘다 질병관리청으로부터 제공을 받고 있는 듯 하다. 3. 스마트서울맵 서울맵이라 더 자세하게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것 같다. 운영시간 뿐만 아니라, URL, 검사비용 정보, 공지사항 등의 정보가 있다. https://map.seoul.go.kr/smgis2/short/..
2021.09.15 -
[네이버지도] 실시간 프로야구 중계정보
네이버지도에서 야구중계 시간과 중계를 볼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고척스카이돔 POI 밑에 경기일정 정보가 있는 것을 발견했는데! 경기정보 - 현재 시간 기준으로 경기중인 경기가 지도화면에서 노출되고 있던 것이였어요. TV중계로 들어가면 실시간 네이버TV에서 중계하고 있는 화면을 볼 수 있답니다! 고척돔말고 다른 야구장도 검색해보니! 경기중인 야구장에는 경기일정 정보가 노출되고 있었어요. 프로야구에 관심있으신 분들은 유용하게 쓸 기능일 것 같네요! https://blog.naver.com/naver_map/221373449604 2018년부터 제공되고 있는 기능이라고 합니다 :)
2021.06.25 -
Node.js란?
Node.js의 사전적 정의를 살펴보면 JavaScript 런타임이라고 소개되어있다. *런타임이란? 런타임은 바로 프로그래밍 언어가 구동되는 환경이다. 이전에는 JavaScript는 브라우저('프론트엔드')에서만 돌아가는 언어였었는데 이제는 Node.js라는 환경, 프로그래밍 구동 환경 덕분에 브라우저뿐만 아니라 서버용으로 혹은 머신러닝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환경을 말한다. 바로 이러한 Node.js의 탄생 덕분에 자바스크립트가 프론트엔드에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개발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는 그런 역할을 톡톡히 해냈다고 생각하면 된다. 다음으로는 NPM(Node Package Manager)이다. Node.js를 설치하면 자동적으로 설치되는 툴이다. Node.js에서 ..
2021.06.16 -
서버와 HTTP 개념 이해하기
클라이언트와 서버 1. 네트워크 기본 네트워크는 컴퓨터와 컴퓨터간의 연결을 의미한다. 우리가 사용하는 거의 모든 서비스는 네트워크를 이용한다. ex) 카카오톡 메세지를 받고 친구에게 선물을 할 수 있는 이유는 우리의 컴퓨터(스마트폰)와 카카오회사의 컴퓨터와 연결되었기 때문이다. 2. 클라이언트와 서버 클라이언트(Client) : 네트워크에서 정보를 요구해서 받는 쪽 서버(Server) : 정보를 제공해주는 쪽 보통 우리가 사용하는 웹, 앱은 클라이언트이다. 그리고 상품 정보, 로그인, 이미지 등을 전달해주는 쪽은 서버이다. 실제로 우리가 사용하는 웹, 앱 서비스는 다양한 서버들과 통신하고 있다. 우리가 브라우저에서 웹에 접속한다는 것은 웹 서버에서 웹(HTML, CSS, JS)를 다운받은 것 우리가 웹에..
2021.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