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PM(45)
-
[제로베이스 pm스쿨] 매일학습일지 Week 3-1
✍🏻 오늘의 할 일 - 아티클 스터디 1개 - 인스파이어드 책읽기 - 챕터 8. 서비스 기획 업무 A to Z 알아보기 강의 - 매일학습일지 PO에게 비즈니스가 중요한 이유 PO가 비즈니스에 대한 이해가 낮아서 우리 회사가 무엇을 하는 회사인지, 핵심 BM은 무엇인지 정확히 이해하지 못한 상태로 지속적으로 제품을 기획하고, 팀을 이끌어 간다면 아무리 훌륭한 UX 구성, 훌륭한 기술자들이 모여서 멋진 기술로 개발해도 이 의미가 퇴색될 수 밖에 없다. → PO는 본인이 속한 기업이 어떤 사업을 하고, 어떻게 돈을 벌 것이며, 향후에 어떤 방식으로 성장해 나갈 것인지에 대해서 정확히 이해해야한다. 린캔버스 린캔버스란 스타트업의 Business Model을 쉽게 표현할 수 있는 도표이다. 초기 창업자가 본인이 ..
2023.03.20 -
[제로베이스 pm스쿨] 매일학습일지 Week 2-5
✍🏻 오늘의 할 일 - 케이스 스터디 2개 - 북스터디 2개 - 챕터 7 프로젝트 관리 방법 강의 완료 - 매일학습일지 ✔️ 프로젝트 우선순위 설정 ✔️ 프로젝트 프로세스의 관리 ✔️ 프로젝트 진행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 프로젝트 커뮤니케이션 용어정리 ✔️ 프로젝트 완료후 프로젝트는 왜 실패하는가? 1. 조직 우선순위의 불안정성 2. 프로젝트 방향성의 불안정성 -> 서비스 방향성이 계속해서 변경되면 제품퀄리티가 낮아진다. 조직의 리소스는 한정되어 있으며 모든 요구사항을 반영하는것은 어려움, 서비스 기획자는 명확한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그에 따라 프로젝트를 진행해야한다. 프로젝트의 우선순위는 무엇인가? 제품 혹은 서비스의 컨셉을 구현하는데 가장 필요한 기능을 기준으로 우선순위가 설정되어야 한다. * 킬러피..
2023.03.17 -
[제로베이스 pm스쿨] 매일학습일지 Week 2-4
✍🏻 오늘의 할 일 - 아티클 스터디 2개 - 북스터디 1개 - 챕터 6 서비스 기획자의 역할 강의 완료 - 매일학습일지 ✔️ 서비스 기획자란 ✔️ 서비스 컨셉과, 방향성 도출하기 ✔️ 목적 중심 조직, 기능 중심 조직에서의 기획자 역할 ✔️ 사용자향 서비스 vs 사업자향 서비스 ✔️ B2B vs B2C 서비스란 서비스 기획자란 사용자의 니즈를 발굴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설계하며, 이를 서비스를 통해 증명하는 사람 서비스 기획자의 주요 업무 서비스 기획 / 기술 기획 / 운영 기획 / 데이터 기획 -> 어떤 시장, 도메인, 제품에 대한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 도메인 지식이 가장 중요하다. 조직성격별 서비스 기획자 역할 제품 개발 / 내부 제품 개발 / 외부 제품 개발 제품 개발 - 가장 일반적인 ..
2023.03.16 -
[제로베이스 pm스쿨] 2주차 미션 : 제로베이스 PM스쿨을 선택한 이유
서비스 기획이라는 직무는 대학교 졸업작품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흥미를 느꼈고, 공대생이지만 경영학과 마케팅 수업을 들으며 흥미를 이어갔었다. 하지만 신입의 문은 좁았고, 내 전공을 살려 데이터쪽 직무로 커리어를 시작했다. 서비스 기획 직무로 취업하고 싶어 도전을 했지만 실무 경험이 부족한 것을 느꼈다. 현재 내 경력과 직장 병행으로 할 수 있는 직무전환을 할 수 있는 강의를 찾던 도중 제로베이스 PM스쿨의 광고를 보게 되었다. https://zero-base.co.kr/category_biz_camp/school_PM PM 포트폴리오 완성 | PM 스쿨 | zero-base 무스펙 문과생도 PM 포트폴리오 제작부터 취업까지 {제로베이스 PM 스쿨} zero-base.co.kr 제일 내 눈에 띈 것은 아래 ..
2023.03.16 -
[제로베이스 pm스쿨] 매일학습일지 Week 2-3
✍🏻 오늘의 할 일 - 아티클 스터디 1개 - 커리어 특강 참여 - 챕터 5 그로스해킹 강의 완료 - 매일학습일지 ✔️ 사용자 유치(Aquisition) ✔️ 사용자 활성화(Activation) ✔️ 사용자 재방문(Retention) ✔️ 매출(Revenue) ✔️ 추천(Referel) ✔️ Carrying capacity에 대한 이해 사용자 유치(Aquisition) 유입을 이야기하는 “Aquisition” - 고객 유치 (마케터가 가장 신경 쓸 부분) 마케터가 없다면 서비스기획자가 책임진다. Aquisition을 위한 활동은 크게는 비용을 지불하고 들어오는 페이드 트래픽(Paid Traffic)과 고객이 검색 등으로 자연스럽게 찾아오는 올가닉 트래픽(Organic Traffic)이 있다. 사용자 활성..
2023.03.15 -
[제로베이스 pm스쿨] 매일학습일지 Week 2-2
✍🏻 오늘의 할 일 - 케이스 스터디 1개 마무리 - 챕터 5 강의 듣기 - 매일학습일지 ✔️ 그로스 해킹이란 + 사례 ✔️ AARRR이란? 그로스 해킹이란 그로스해킹 - 프로덕트 마켓 핏을 찾은 이후에 프로덕트 성장을 위한 방법 Growth: 커지다, 증가하다, 성장하다 Hacking: 컴퓨터를 조작하다, 경작하다(기존에 없던 시장을 참조, 고객 발굴, 키워내는 것) 최적화된 고객을 발굴하여 고효율의 마케팅을 집행하는 활동을 그로스해킹이라고 한다. 서비스 기획자가 왜 그로스해킹을 알아야 할까? 서비스 기획자의 중요한 업무는 우리가 맡은 프로덕트의 성장이다. 조직에 따라서 마케터와 그로스 해커가 없는 조직도 있고, 마케터가 있다고 해도 주로 고객 Acquistion의 영역을 위한 크레이티브 제작과 채널 ..
2023.03.14